반응형
filter() 함수는 배열의 자료를 검토 및 분류해서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준다
🔸정의
주어진 배열의 값들을 오름차순으로 접근해 callbackfn을 통해 true를 반환하는 요소를 기준으로 신규 배열을 만들어 반환한다
🔸기본 사용법
const numbers = [1];
numbers.filter((number, index, source) => {
// number: 요소값
// index: source에서 요소의 index
// source: 순회하는 대상
console.log(number);
// 1
console.log(index);
// 0
console.log(source);
// [1]
return number > 3;
});
🔸filter 함수로 분류해서 배열로 만드는 방법
const numbers = ['1', '2', '3', '4', '5'];
const lower = numbers.filter(number => number <= 4);
console.log(numbers);
//[1, 2, 3, 4, 5];
console.log(lower);
//[1, 2, 3, 4];
filter 함수를 통해 4보다 작거나 같은 number 를 분류해서 배열로 만드는 방법.
변수선언 = 배열명.filter(매개변수 => 조건문);
반응형
'JS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수점 표기 함수 (0) | 2023.08.24 |
---|---|
배열에 자료를 추가/삭제하는 함수 (0) | 2023.08.23 |